오늘은 Java를 사용하기 위한 통합개발 환경을 설치, 세팅 해보려고 한다.
많은 개발환경이 있지만, 그중 Eclipse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어 Eclipse를 대표적으로 사용해보자.
Eclipse는 개발자에게 코드 작성, 저장하고 컴파일 및 디버깅을 도와주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Java 뿐만아니라, C++등의 언어도 지원한다는것을 알아두자!
자 Eclipse를 설치하기 위해 아래 주소로 들어가자.
The Platform for Open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 The Eclipse Foundation
The Eclipse Foundation - home to a global community, the Eclipse IDE, Jakarta EE and over 350 open source projects, including runtimes, tools and frameworks.
www.eclipse.org
Eclipse 홈페이지에서 파일을 받기 위해 DownLoad로 들어가서, 바로 다운받지 말고 하단 사진의 Download Packages로 들어간다.
아래 사진의 파일을 다운받으면 되는데, 이때 지난 시간 확인하였던 본인 PC의 Os에 맞는 파일을 선택하여 받는다.
다운로드를 완료한 후 Java 폴더를 생성하여 압축을 풀어주도록 한다.
압축풀기가 완료되면, 이제 eclipse라는 폴더안에 있는 실행파일을 클릭하여 실행하자.
실행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workspace 지정 화면이 나오는데, 이때 Browse를 클릭한 후 eclipse 폴더 내에 workspace 폴더를 생성 => workspace 폴더를 지정하고 Launch 하면 설치는 끝나게 된다.
※workspace에 bin / src 폴더가 생성되는데 컴파일하기전 데이터, 컴파일 한 데이터가 각각 나뉘어 담기게 된다.
이제 앞으로 쓸 개발환경들과 통일하기 위하여 인코딩 언어를 UTF-8로 변경하는 작업을 해보자.
우선 Window => Preference => General = Content Type을 들어가 보면, Java Source File이라는 것을 볼수 있다. 클릭하게 되면 아래 File associations에 내용이 담기는데 일단 무시하자!(우리는 인코딩언어를 변경하려고 들어온것이니!)
Java Source File클릭 후 아래에 있는 Default Encoding에 UTF-8을 입력하여 업데이트 하면, 앞으로 Java를 쓰는 개발 환경의 모든 언어는 UTF-8로 설정되게 된다.
자 다음으로 Ram 메모리의 최대 최소값을 설정해주자!
-Xms1024m
-Xmx2048m
이부분은 Ram 메모리영역에 대해 기본적으로 숙지하면 이해가 쉬울것 같다.
메모리 영역은 code, data, stack, heap 영역으로 나뉜다
1). Code 영역 : cpu에서 직접 수행되는 명령어들이 위치하는 영역
2). Data 영역 : data 영역의 경우 전역,스태틱 변수 혹은 배열 이나 구조체 등이 위치하는 영역인데, bss, data 영역으로 또 세분화 된다
3). Heap 영역 : 필요에 의해서 동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할때 사용하는 영역이다. 동적 데이터 영역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malloc, new 함수등을 통해 할당받는다.
4). stack 영역의 경우 매개변수, 지역변수, 리턴 주소, 리턴 값등 일시적으로 사용했다가 사라지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영역이다.
Ram은 위 사진과 같이 영역이 나뉘어있는데, 방금전 Xms, Xmx의 값은 메모리의 Heap영역의 최소/최대 값을 설정해 준것이다.
개발을 하기전 기초단계로 개발환경을 갖추는것은 기본이지만 가장 중요한 단계임으로
잊지않고 머리속에 넣어놓아야 한다.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nowledge] iBatis & myBatis 사용 개념-2 (0) | 2020.12.30 |
---|---|
[Knowledge] iBatis & myBatis 사용 개념-1 (0) | 2020.12.30 |
[Knowledge] Eclipse Lombok(롬복) 사용하기 (0) | 2020.12.30 |
[Knowledge] Java - Eclipse 개발환경 세팅 기본-1 (0) | 2020.12.30 |
[Knowledge] IP란? TCP/UDP란? (0) | 2020.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