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를 알아보다보니 하이퍼바이저 하이퍼바이저 하면서 계속 나오는 이것!
조금만 더 알아보려고한다.
하이퍼바이저란?
하이퍼바이저는 단일 하드웨어에서 여러 다른 가상 머신을 호스팅할 수있는 프로그램
쉽게 말해 하나의 Host 컴퓨터에서 다수의 OS를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아이이다.
가상화 머신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 또는 가상화 머신 매니저(virtual machine manager) 약어로 VMM라고 한다.
가상머신을 돌리는 컴퓨터가 Host / 각각의 가상 머신들은 Guest라고 한다.
그래서 Host OS위에 개별 Guest OS를 구동시켜서 도커를 사용하는것과는 다르다.
Guest OS는 개별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다양한 운영 체제의 여러 인스턴스가 하드웨어 리소스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
우리가 VirtualBox를 사용할 때 하드웨어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리소스 등이 있는것처럼 보이는것은 하이퍼바이저가 실제 리소스를 가상시스템에 잘 할당하기 때문이다.
하이퍼바이저는 모든 물리적 장치, 메모리와 디스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는 가상 머신의 모든 측면과 부분을 제어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의 유형?
하이퍼바이저에는 유형 1과 유형 2로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유형 1 하이퍼바이저
- 호스트 하드웨어에서 직접 실행되어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게스트 가상머신을 관리
- “Native” 또는 “Bare-Metal” 하이퍼바이저라고한다.
- Guest OS의 문제가 다른 Guest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Xen, Oracle VM Server for SPARC, Oracle VM Server for x86, Microsoft Hyper-V 및 VMware의 ESX / ESXi
장점
1. 물리 서버에 장애가 발생시 소프트웨어들은 이용 가능한 다른 서버로 마이그레이션하여 하드웨어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할수있다. => 유지보수 및 편리하게 수리, 교체가 가능하다.
2. RAM 용량 초과/ 동적 할당 : 서버에서 여러 인스턴스를 실행할 때 가상 머신에 할당되는 전체 RAM을 물리적 메모리 용량보다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유형 2 하이퍼바이저
- 호스트 된 하이퍼 바이저라고도 한다.
-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OS에서 실행된다.
- 운영에 있어 호스트 운영 체제에 전적으로 의존적.
- Host 운영 체제의 모든 문제는 전체 시스템(가상화된 Guest등)에 영향을 준다.
- VMware Workstation, VMware Player, VirtualBox 및 Parallels Desktop for Mac
장점
1. 운영 체제 안에 설치되기 때문에 하이퍼바이저의 관리 콘솔이 필요하지 않다.
단점
1. Host 운영체제에서 실행 되기 때문에 RAM의 동적 할당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상 머신에 리소스를 할당할 때 주의해야 한다.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오토 스케일링이란?? (0) | 2021.09.30 |
---|---|
[Cloud] Docker 란? 가상머신과의 차이 (0) | 2021.09.27 |
[Cloud] Public Cloud / Private Cloud란? 이해 (0) | 2021.09.23 |